당시 국제정세와는 아~~~무 상관도 없는‘헛된 기대’(“독립만세”만 외치면 미국의 윌슨 대통령이 미군을 델꼬와 일본 군을 한반도에서 물리쳐줄 것이라는ㅎㅎㅎ)로 3.1만세를 일으켜 놓고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자, “이 산이 아닌게벼”라면서 총독부가 던져주는 개뼈다귀를 주워먹으러 달려간 조선의 이른바 엘리트들..... 그러나 조선의 민중은 이런 엘리트들의 행동에 실망하는 한편, 그래도 3.1운동으로 정신이 확 들면서, 강연을 들으러 다니고, “배와야 한다”며 아이들을 학교(“식민지인 만드는 핵교”라면서 3.1운동 전에만 해도 웬간해선 애들을 보내지 않았었는데)에 보내기 시작하고.... 한국에서의 거의 모든 운동이 항상 그렇지만, 엘리트들은 불만 붙여놓고는 자기 살길 찾아가지만(한국 배운자들의 지독..
3.1운동의 민족대표 33인에 대해“젊은이들 가슴에 불길만 당겨놓고, 자기들은 유치장 보호막 뒤로 숨어버린 사람들”이란 비난도 있지만... 그래도 남강 이승훈 선생 같은 분이 있어서 참으로 다행.. 일본에서 2.8독립선언서를 숨겨갖고 들어와 “조선에서도 거사해야 한다”고 알리자, “내가 드디어 죽을 날을 찾았다”며 반가워했던 남강 이승훈. 천도교와 기독교란 이질적인 조직이 만나거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손병희 이름을 맨앞에”(천도교 측)“이승훈 이름을 맨앞에”(기독교 측)놓아야 한다는 끗발 다툼이 일어나자, “이 사람들아, 그 이름 적는 순서가 죽는 순서인 거 몰라”라고 웃으며, 자신의 이름은 저 중간에 쳐박아도 된다고 물러난 이승훈 선생.... 그의 헌신과 용기에 감동받으며3.1운동 100주년을 맞습..
함석헌 선생에게 직접 들어보는 3.1절 그날의 현장. 조선인들이 “대한독립만세”를 외치고 태극기를 흔들자마자 일본 경찰-헌병이 무차별 학살을 한 걸로, 우리는 배웠지만, 함 옹의 얘기를 들어보면 그렇지는 않았다고. “조선인 시위대를 자극하지 말라”는 지령을 받은 일본 경찰들은 적어도 첫날(3월 1일)만큼은 폭력행사를 자제했었다는... 그래서 마음껏 “대한독립만세” 외치고, 평양경찰서 앞의 경찰 코앞에 대고 태극기를 마구 흔들어댔지만, 일본 경찰은 아무것도 못본 척 먼 산을 봤다는 웃기고도 놀라운 얘기. 물론, 상황은 곧 돌변해,경찰-군대가 총에 착검을 한 상태로 시위대와 정면충돌하지만, 그래도 초기에는 바로 총검으로 찌르고 하지는 않았다고. 함석헌 옹에게 듣는 3.1운동 현장 얘기의 첫 순서. 다음 회에..
100주년을 맞은 3.1절을 즈음하여, 김정은 위원장이 서울 답방을 하면서 남북한이 ‘3.1절 협력’을 할 즈음인데…… 잘 될까? 왜냐면 3.1운동을 보는 남북한의 시각이 워낙 다르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3.1운동과 그에 따른 상해임시정부의 정신을 헌법 전문에 삽입하는 등 정통성의 근거를 3.1운동에 두고 있지요. 반면, 북한에서도 물론 3.1운동의 중요성은 인정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실패한 3.1운동”이라는 시각도 강합니다. 왜냐구요? 수많은 인명이 살상됐지만(전국적으로 장기간에 걸쳐서 살상이 일어났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게 비유하자면, 광주사태 같은 살상 사태가 한반도 전역에서 일어났다고 봐야 합니다), 그 성과는 극히 미미했다는 게 북한의 평가지요. 그러면서 북한에서는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는 정..
- Total
- Today
- Yesterday
- 모택동
- 조선총독부
- 나은이
- 백두혈통
- 박주호
- 김정일
- 인종차별
- 건후어
- 김일성
- 건후 엄마
- 마오쩌둥
- 눈찢
- 북스타그램
- 김정은
- 박홍규
- 베스트셀러
- 옹알이
- 건후
- 민족대표33인
- 독알이
- 고난의행군
- 건나블리
- 오캠
- 건나파블리
- 필독서
- 문재인
- 슈돌이
- 아기천재
- 북손탐
- 차별금지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