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요즘은 인(人)이 ‘모든 사람’이란 의미지만,

공자 시대에는 ‘人 = 지배자, 귀족’이었고,

‘民=피지배자’란 의미였다고.


그리고 民은 원래 포로에서 비롯된 글자로,

눈 찔려 장님이 된 사람을 뜻한다는....


그러니, 밥먹여주고(북한보다 더 맛있게 배불리),

눈뜨고 다니게 해주는 것만으로도,

감읍해야 한다는

쉐누리당식 이론이 통했던겨?ㅋㅋ


지배자가 자신들을 위해서 만든 게 인문학-학문(文)이고,

그래서 文(인문학)은 예나 지금이나 지배자 편이라는 박홍규 교수의 해석.


이런 사정을 알려줘야 하는데,

요런 배경 사정을 쏙 빼먹고 가르치면서 배신 때리고 제 뱃속 채우는 탐욕의 한국 인문학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로 이어지는

고대 그리스 최고의 철학자 3인은

反민주주의자였는데 요런 거 싹 빼고 갈치니,


그 잘난 플라톤이 추천했다는 ‘철학자 왕’, 즉 “가장 머리좋은 사람이 왕이 되는 게 최고의 통치”라는 공식이,

유신헌법 코리아에 적용되면서,

“박정희 대통령을 朴왕조의 시조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플라톤 읽기 운동’과 함께 시작돼.


유신 공포정치 시작되면서 플라톤의 ‘국가’ 같은 고전 읽기 운동이 대대적으로 벌어진 건, 우연일까?ㅎㅎ


그래서 우리의 돈키호테 박홍규 교수는 “노예제 빼고 고대 그리스 말하지 말라. 그리고 서양 것이라면 똥이라도 좋다고 갈치지 말라. 식민주의-제국주의는 안 된다고 분명히 갈쳐줘야 하는 거 아니냐”고 일갈.


박홍규 교수를 따라가면, 자본주의가 안겨주는 고통을 조금은 벗어날 수도 있습니다. 자본주의 마케팅이 행하는 ‘고문’을 벗어나는 한 계기가 될 수도 있는 박홍규 읽기 대장정을 시작해봅니다. 그럼 출바아알~~




<때맞춰 책읽는 북손탐의 재밌는 동영상>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