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3월 1일 탑동공원에 모여 독립선언서를 당당히 낭독하겠다던 민족대표 33인은,학생-시민들이 공원에 대규모로 운집한다는 소식에 놀라 태화관으로 ‘도피’하고, 바로 총독부 경찰에 전화를 걸어 “우리 여기 있으니 잡아가시오”라면서 경찰서 안으로 사라져. 그래서 민족대표 33인 중 최고형을 받은 사람이 고작 징역 3년형이라는...... 이렇게 민족대표 33인은 ‘경찰의 막’ 뒤로 숨어버렸지만, 거리의 학생-시민들은, 겁도 없이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광화문 거리 등을 행~~~~진~~~~~. 그 결과 58일 동안 전국의 시-읍-면에선 일제 경찰-헌병-군인의 총칼에 노출된 수많은 조선인이 난자당해 사망-부상이 줄이어... 수원 제암리에서는 교회의 조선인들을 불태워 몰살시키기도... 한마디로 말해 3...
100주년을 맞은 3.1절을 즈음하여, 김정은 위원장이 서울 답방을 하면서 남북한이 ‘3.1절 협력’을 할 즈음인데…… 잘 될까? 왜냐면 3.1운동을 보는 남북한의 시각이 워낙 다르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3.1운동과 그에 따른 상해임시정부의 정신을 헌법 전문에 삽입하는 등 정통성의 근거를 3.1운동에 두고 있지요. 반면, 북한에서도 물론 3.1운동의 중요성은 인정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실패한 3.1운동”이라는 시각도 강합니다. 왜냐구요? 수많은 인명이 살상됐지만(전국적으로 장기간에 걸쳐서 살상이 일어났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게 비유하자면, 광주사태 같은 살상 사태가 한반도 전역에서 일어났다고 봐야 합니다), 그 성과는 극히 미미했다는 게 북한의 평가지요. 그러면서 북한에서는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는 정..
- Total
- Today
- Yesterday
- 김정일
- 건후
- 김일성
- 슈돌이
- 북손탐
- 건후어
- 건후 엄마
- 베스트셀러
- 민족대표33인
- 눈찢
- 나은이
- 문재인
- 고난의행군
- 박홍규
- 모택동
- 오캠
- 필독서
- 건나블리
- 박주호
- 백두혈통
- 김정은
- 조선총독부
- 옹알이
- 차별금지법
- 북스타그램
- 아기천재
- 인종차별
- 건나파블리
- 독알이
- 마오쩌둥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